호남선

L위키, 시민들이 참여하여 가꾸는 리버럴 위키
호남선
Korail Honam Line.png
호남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간선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대전조차장역
(대전광역시 대덕구 아리랑로 166)
종점목포역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98)
역 수48
노선 번호304
개통일1911년 7월 10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SR[1]
노선 제원
영업 거리252.5 km
궤간1,435 mm
선로 수2 (전 구간)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볼트 60 Hz
신호 방식ATS
노선도

0.0
대전조차장
경부선 (부산역 방면)
대전천
5.7
서대전 한국고속철도
유등천
정림1,2터널
갑천
11.8
가수원
괴곡터널
갑천
사진포터널
17.3
흑석리
20.7
원정
↑대전/계룡↓
N 1
25.4
계룡 한국고속철도 (계룡시)
28.0
신도
향한,광석터널
↑계룡/논산↓
34.7
개태사
39.6
연산 (연산면)
44.5
부황
부황터널
N 4
50.8
논산 한국고속철도
N 23/N 1
56.5
채화[2] (채운면)
57.5
채운신호장
60.7
강경 (강경읍)
금강 하구
66.7
용동 (용동면)
71.8
함열
75.4
다산
81.2
황등 (황등면)
87.9
익산 한국고속철도
N 27
장항선 (군산역 방면)
95.3
부용
98.5
와룡
105.6
김제
112.4
감곡
117.9
신태인 (신태인면)
정토터널
123.5
초강 (정우면)
131.4
정읍 한국고속철도
137.4
천원
141.6
노령
노령제1터널
노령제2터널↑정읍시/장성군↓
148.6
백양사 (북이면)
상공터널
모현터널
154.3
신흥리
상평터널
160.1
안평
163.8
장성
169.6
옥정
174.7
임곡
181.2
하남
185.7
광주송정 한국고속철도
195.0
노안
201.5
나주 한국고속철도
203.2
영산포
구진포터널
208.9
다시
212.1
고막원
218.9
함평
함평천
226.5
무안
230.3
몽탄
236.5
명산
239.9
일로
경전선 (보성역 방면)→
245.2
임성리
249.9
동목포
252.5
목포 한국고속철도
KTX 정차

호남선대전광역시 대덕구의 대전조차장에서 경부선에서 분기해 서대전역계룡역을 거쳐 충청남도 논산시, 전라북도 익산시, 정읍시, 광주광역시, 나주시까지 이어져 전라남도 목포시 목포역까지 가는,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고 대한민국 정부가 소유하는 대한민국의 철도노선이다.

본래 어디서 분기했는가?[편집 | 원본 편집]

본래는 대전광역시 도심부라고 할 수 있는 대전광역시 동구대전역에서 분기하여 지금은 대전선이 된 초기 호남선 선로를 통해 서대전역으로 진행, 그 이후 호남선 선로가 뻗어가는 쪽으로 진행했다.[4][5] 그러다가 해방 이후 1960년대부터 이어진 복선화 과정에서 호남선을 복선화하기 위해 선로를 추가하는 식으로 복선 선로를 만들어야 하는데, 대전역~서대전역 구간은 대전광역시의 발전으로 인해 선로 주변에 시가지가 들어서는 상황에 놓였던데다가, 서울에서 직통으로 열차를 보내는 것도 고려하여 대전시내 구간의 복선화가 불가능했다. 결국 서울과의 직결을 위해 오정선 등을 만들어 서울에서 목포까지 가는 열차를 운행하다가, 복선화를 위해 대전조차장에서 분기하는 것으로 바꾸게 되었고, 대전역~서대전역 단선 구간은 대전선이라는 지선으로 따로 떨어져 나가도록 했다.

이 부분 때문에, 일제강점기 당시 호남선 열차들이 대전역에서 기관차를 방향에 맞춰 바꿔서 연결하는 과정에서 수십 분이 소모되는 게 당연했던 과정에서 대전역의 명물인 가락국수가 탄생하기도 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S K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경부선 회덕역 방면
대전조차장 Daejeon jochajang 大田操車場





대전북연결선
경부선
- 0.0 대전광역시 대덕구
서대전 Seodaejeon 西大田 대전선 5.7 5.7 중구
가수원 Gasuwon 佳水院 6.1 11.8 서구
흑석리 Heukseok-ri 黑石里 5.5 17.3
계룡 Gyeryong 鷄龍 8.1 25.4 충청남도 계룡시
개태사 Gaetaesa 開泰寺 9.3 34.7 논산시
연산 Yeonsan 連山 4.9 39.6
부황 Buhwang 夫皇 4.9 44.5
논산 Nonsan 論山 6.3 50.8
채운 Chaeun 彩雲 강경선 6.7 57.5
강경 Ganggyeong 江景 3.2 60.7
용동 Yongdong 龍東 6.0 66.7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 Hamyeol 咸悅 5.1 71.8
황등 Hwangdeung 黃登 9.4 81.2
연결선 (분기) - - 호남고속선 3.7 84.9
익산 Iksan 益山 전라선
장항선
3.0 87.9
연결선 (분기) - -





호남고속선 0.4 182.9
부용 Buyong 芙蓉 7.4 95.3 김제시
김제 Gimje 金堤 7.1 105.6
감곡 Gamgok 甘谷 6.8 112.4 정읍시
신태인 Sintaein 新泰仁 5.5 117.9
연결선 (분기) - - 호남고속선 6.9 130.4
정읍 Jeongeup 井邑 1.0 131.4
연결선 (분기) - -





호남고속선 1.0 132.4
천원 Cheonwon 川原 5.0 137.4
노령 Noryeong 蘆嶺 4.2 141.6
백양사 Baegyangsa 白羊寺 7.0 148.6 전라남도 장성군
안평 Anpyeong 安平 장성화물선 11.5 160.1
장성 Jangseong 長城 3.7 163.8
임곡 Imgok 林谷 10.9 174.7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 Hanam 河南 6.5 181.2
연결선 (분기) - - 호남고속선 1.0 182.2
북송정 Buksongjeong 北松汀 북송정삼각선, 광주선 1.8 184.0
광주송정 Gwangjusongjeong 光州松汀 광주선, 경전선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광주송정역)
1.7 185.7
노안 Noan 老安 9.3 195.0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 Naju 羅州 6.5 201.5
다시 Dasi 多侍 7.4 208.9
고막원 Gomagwon 古幕院 3.2 212.1
함평 Hampyeong 咸平 6.8 218.9 함평군
무안 Muan 務安 7.6 226.5 무안군
몽탄 Mongtan 夢灘 3.8 230.3
일로 Illo 一老 대불선 9.6 239.9
임성리 Imseong-ri 任城里 5.3 245.2 목포시
목포 Mokpo 木浦 7.3 252.5

지나가는 열차 계통/등급[편집 | 원본 편집]

각주[편집 | 원본 편집]

  1. SRT 열차만 운행
  2. 구 호남선 노선은 국토지리정보원 구지도 참조 [1]
  3. (2001년 폐지)
  4. 이는 일제강점기 당시 한국에서 일제가 한국 및 대만을 억압하고 수탈하는 식으로 식민지배하고자 일본의 도쿄(동경)을 중심으로 철도망을 뻗어나가도록 정책을 시행한 것에서 기인한다.
  5. 여기에 본래 대전광역시의 모체였던 회덕군의 경우 갑오개혁 이후 현재의 대전광역시 도심부까지 확장되면서 회덕군청이 이전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만약 일제강점기가 없었다면 현재의 회덕역이 대전역이 되었을거고 본래 호남선의 계획을 감안할때 오정선이 현재의 호남본선이 되었을 가능성도 분명히 존재한다
  6. 이때까지는 아직 군산선이 정식으로 분리되지 않았다
  7. 이때부터 복선화와 동시에 선형이 고속화되기 시작했다